반응형 분류 전체보기205 병원 진료과 약어 총정리: 내과부터 외과까지 한눈에 이해하기 병원 진료과 약어 총정리: 내과부터 외과까지 한눈에 이해하기병원에서 사용되는 진료과 약어는 의료진과 환자 모두에게 혼란을 줄 수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주요 진료과의 약어와 그 의미를 상세히 정리하여, 의료 현장에서의 원활한 소통과 이해를 돕고자 합니다. 병원에서 사용되는 진료과 약어는 병원마다 다를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약어들이 사용됩니다: 1. 내과 (Internal Medicine) IM / MED: 내과 CA / C: 심장내과 (Cardiology) GI: 소화기내과 (Gastroenterology) NH: 신장내과 (Nephrology) ED / EIM: 내분비내과 (Endocrinology) PU / P: 호흡기내과 (Pulmonology) On / HO / HIM: 혈액종양내.. 2025. 1. 8. 병원에서 꼭 알아야 할 투약 용어 정리! PO, IV, PRN의 뜻은 병원에서 꼭 알아야 할 투약 용어 정리! PO, IV, PRN의 뜻은 병원에서 사용하는 주요 투약 용어는 약물 처방과 관리를 이해하는 데 매우 중요합니다. 아래는 자주 사용되는 용어와 그 의미를 정리한 내용입니다 1. 투약 관련 약어PO (per os): 경구로, 입을 통해 복용하는 약물. IV (intravenous): 정맥 주사로 약물을 투여. IM (intramuscular): 근육 주사로 약물을 투여. SC (subcutaneous): 피하 주사로 약물을 투여. SL (sublingual): 설하 투여, 혀 아래에서 녹여서 복용. PR (per rectum): 직장으로 투약. ID (intradermal): 피내 주사. 2. 투약 시간 관련 약어BID (bis in die): 하루 두 번 투약. .. 2025. 1. 8. 온몸이 쑤시고 아파요. 섬유근통증후군의 원인, 증상, 치료방법에 대해 섬유근통증후군: 만성 통증의 실체와 효과적인 관리법 안녕하세요. N년차 간호사 알엔마미입니다. 이번에 포스팅할 질환은 섬유근통증후군(Fibromyalgia)입니다. 이번 포스팅을 통해 섬유근통증증후군의 원인, 증상, 진단법, 치료방법에 대해 자세하게 알아보는 시간을 가지려고 합니다. 섬유근통증후군(Fibromyalgia) 은 특별한 원인 없이 신체 여러 부위에서 발생하는 만성적인 통증과 압통을 주요 특징으로 하는 질환입니다. 현대인의 삶에서 스트레스와 피로가 점점 증가하면서 이 질환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습니다. 특히, 30~50대 여성에게서 흔히 발생하는 섬유근통증후군은 단순한 통증 이상의 문제를 동반하며, 피로, 수면 장애, 인지 기능 저하 등 일상생활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이 글에서는.. 2025. 1. 8. 콩코르정 5mg 2.5mg 성분 효과 부작용에 대해 콩코르정 5mg 2.5mg 성분 효과 부작용에 대해콩코르정은 주성분인 비소프롤롤(Bisoprolol)을 포함한 베타 차단제 계열의 약물로, 고혈압, 협심증, 만성 심부전, 부정맥 등의 심혈관 질환 치료에 사용됩니다. 1. 효능 및 효과:- 고혈압 및 협심증 치료: 심장 박동수를 조절하고 심장의 부담을 줄여 혈압을 낮추며, 협심증 증상을 완화합니다. - 만성 심부전 치료: 좌심실 수축 기능이 저하된 안정형 만성 심부전 환자에서 심장의 기능을 개선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 부정맥 치료: 심박수를 안정화시켜 부정맥 증상을 조절합니다. 2. 복용 방법:- 일반적으로 아침에 공복 시 또는 식사와 함께 복용하며, 정제를 씹지 않고 물과 함께 삼킵니다. - 고혈압 및 협심증: 성인은 1일 1회 5~10mg을.. 2025. 1. 8. 이전 1 2 3 4 5 6 7 ··· 52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