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Clostridioides difficile 감염(CDI) 완전 가이드|항생제 관련 장염 원인·증상·검사·치료
Clostridioides difficile 감염(CDI)은 대표적인 항생제 관련 장염으로, 설사와 복통부터 위막성 대장염까지 유발할 수 있는 중요한 감염병입니다. 이 글에서는 원인, 증상, 검사방법과 결과 해석, 치료·재발 예방법, 감염관리까지 핵심을 정리했습니다.
1. CDI란 무엇인가
Clostridioides difficile 감염(CDI)은 항생제 사용 등으로 장내 정상균총이 무너질 때 C. difficile이 과증식하고 독소를 분비해 발생하는 항생제 연관 대장염입니다. 일반적으로 24시간 내 3회 이상의 묽은 변이 있으면서 독소 양성 또는 독소 생성균의 검출이 확인되면 진단을 고려합니다.
2. 원인 및 위험요인
- 항생제 사용: 플루오로퀴놀론, 세팔로스포린, 클린다마이신 등
- 입원/요양시설 체류, 최근 위장관 수술·조작
- 고령, 면역저하, 중증 동반질환
- PPI 장기 복용: 불필요 처방은 줄이는 게 권장
3. 주요 증상과 합병증
- 주요 증상: 수양성 설사, 복통, 발열, 식욕저하
- 특징적 소견: 내시경에서 황백색 위막이 보이는 위막성 대장염
- 합병증: 독성 거대결장, 장천공, 패혈증
4. 검사방법과 결과 해석
검사 적응증: 24시간 내 3회 이상 비형성 변, 다른 설사 원인 배제 후 시행.
- NAAT(PCR): 민감도 높음, 보균자도 양성 → 과진단 주의
- GDH 항원 + 독소 EIA: 빠르고 정확성↑, 불일치 시 NAAT 보완
- 배양: 민감도 높으나 결과 지연
치료 후 재검 불필요, 독소는 금방 분해되므로 즉시 검사 또는 냉장 보관 필요.
5. 치료 및 재발 예방
- 초기 치료: 피다폭시마이신 200mg PO BID × 10일, 또는 반코마이신 125mg PO QID × 10일
- 전격형: 반코마이신 500mg PO QID + 메트로니다졸 IV q8h, 필요 시 직장 투여, 조기 외과 협진
- 재발 시: 피다폭시마이신 연장, 반코마이신 펄스 요법, FMT 고려
- 재발 예방: 베즐로톡수맙 10mg/kg IV 1회 (고위험군)
6. 감염관리
- 접촉주의: 장갑, 가운 착용, 전용 화장실 사용
- 손 위생: 비누와 물 손씻기가 포자 제거에 효과적
- 환경 소독: 포자 살균제(EPA List K) 사용
7. 핵심 요약
✅ 검사 적응증: 24h 내 ≥3회 비형성 변 + 다른 원인 배제
✅ 치료: 피다폭시마이신 또는 반코마이신 × 10일
✅ 전격형: 고용량 반코 + IV 메트로니다졸, 외과 협진
✅ 재발 예방: 베즐로톡수맙, FMT
✅ 감염관리: 접촉주의, 포자 소독, 비누 손씻기
※ 본 글은 일반 의학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며, 개인의 상태에 따라 진단·치료는 달라질 수 있습니다. 증상이 있다면 반드시 의료진과 상담하시기 바랍니다.
반응형
'의학용어에 대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의학용어 DVT(Deep Vein Thrombosis, 심부정맥혈전증)에 대해 (0) | 2025.02.23 |
---|---|
ALS(Amyotrophic Lateral Sclerosis)란? 근위축성 측삭 경화증에 대해 (0) | 2025.02.06 |
의학용어 암기법: 효율적인 기억법 소개 (0) | 2025.02.03 |
병원 진료과 약어 총정리: 내과부터 외과까지 한눈에 이해하기 (0) | 2025.01.08 |
병원에서 꼭 알아야 할 투약 용어 정리! PO, IV, PRN의 뜻은 (0) | 2025.01.08 |
댓글